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시장 반응
지난 12일, 서울시는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 일대 291곳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했습니다. 이 조치 이후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반응하면서, 아파트 검색량과 방문자 수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파트 검색량 및 방문자 수 증가
부동산 정보 플랫폼 호갱노노의 데이터에 따르면, 해제 발표 직후 송파구 잠실동의 방문자 수는 전날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강남구 대치동과 삼성동도 마찬가지로 방문자 수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특히 잠실의 '엘리트' 단지(잠실엘스·리센츠·트리지움)에는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방문자 수가 최대 4배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실거래가 상승 추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의 영향으로 일부 단지의 실거래가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신고된 잠실 트리지움 전용 84.95㎡(6층) 아파트는 25억 5,000만 원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1월 대비 5,000만 원 상승한 금액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
한국부동산원의 2월 셋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6% 상승하며 상승 폭을 확대하였습니다. 특히 강남3구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송파구(0.36%), 강남구(0.27%), 서초구(0.18%)가 주요 상승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동대문·노원·도봉·금천·구로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호가 급등과 거래 정체 현상
서울 강남 일부 단지에서는 호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도 포착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강남구 대치동의 '래미안 대치 팰리스' 전용 84㎡는 지난해 11월 39억 원(30층)에서 지난 13일 40억 원(5층)으로 상승하였으며, 최근에는 최대 43억 원까지 호가가 올랐습니다. 그러나 일부 매물은 높은 호가로 인해 실제 거래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시장 내 거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집값 담합 단속 강화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일부 지역에서 아파트 주민 단톡방 등을 통한 집값 담합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25개 자치구와 협력하여 부동산 불법 행위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며,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부녀회 등을 통한 집값 담합 행위를 집중 단속할 예정입니다.
전문가 의견 및 향후 시장 전망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3구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가격 상승이 이루어졌지만, 실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또한, 서울 외곽 지역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5.02.12 - [경제상식] - 서울시, 강남·송파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서울시, 강남·송파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서울시가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청담동 및 송파구 잠실동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의 부동산 거래가 보다
big-storage.tistory.com
2025.02.24 - [경제상식] - 수도권 디딤돌 대출 금리 0.2% 인상
수도권 디딤돌 대출 금리 0.2% 인상
정부가 오는 3월 24일부터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구조를 개편하고 지역별로 차등 적용합니다. 이에 따라 서울과 수도권 등 지방을 제외한 지역은 금리가 기존보다 0.2%포인
big-storage.tistory.com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Bitcoin)란? (0) | 2025.02.23 |
---|---|
기준금리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완벽 정리 (1) | 2025.02.22 |
파이코인(Pi Network) 완벽 가이드: 개념, 채굴 방법, 전망 분석 (1) | 2025.02.21 |
희토류란? 희토류의 정의와 중요성 (0) | 2025.02.20 |
추경(추가경정예산)이란? 쉽게 이해하는 개념과 경제적 영향 (1)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