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2025년 연차 발생 기준 완벽 정리

by 저장소주인장 2025. 2. 13.

연차 계산법 & 사용법 총정리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연차 휴가입니다.
특히 신입사원, 경력직 입사자, 근속 연수에 따른 연차 계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연차 발생 기준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근로기준법을 바탕으로 연차 발생 기준, 계산법, 사용법, 미사용 연차 수당 지급 여부까지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연차 휴가란?

📌 연차 휴가 정의

연차 유급휴가(Annual Paid Leave)란 1년간 근무한 근로자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유급 휴가를 의미합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연차 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됨
1년간 소정 근로일수의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연차 부여


2. 2 연차 발생 기준 (2024년 개정 근로기준법 반영) – 1년 차부터 21년 차까지 상세 정리

연차는 근속 연수에 따라 증가하며, 최대 25일까지 부여됩니다.
다음 표에서 1년 차부터 21년 차까지의 연차 발생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년 차부터 21년 차까지 연차 발생 기준표

근속 연수발생 연차 (개)총 연차 (개)

1년 차 (입사 첫해) 매월 1개씩 최대 11개 11개
2년 차 15개 추가 지급 26개 (11+15)
3년 차 15개 15개
4년 차 16개 (1개 추가) 16개
5년 차 16개 16개
6년 차 17개 (1개 추가) 17개
7년 차 17개 17개
8년 차 18개 (1개 추가) 18개
9년 차 18개 18개
10년 차 19개 (1개 추가) 19개
11년 차 19개 19개
12년 차 20개 (1개 추가) 20개
13년 차 20개 20개
14년 차 21개 (1개 추가) 21개
15년 차 21개 21개
16년 차 22개 (1개 추가) 22개
17년 차 22개 22개
18년 차 23개 (1개 추가) 23개
19년 차 23개 23개
20년 차 24개 (1개 추가) 24개
21년 차 25개 (최대) 25개

📌 연차 증가 규칙 요약

입사 1년 차 → 매월 1개씩 최대 11개 발생
입사 1년 후 (2년 차)15개 추가 지급 (총 26개 보유 가능)
이후 2년마다 1개씩 추가 지급
21년 차 이후연차 최대 25개 유지

연차가 최대 25개까지 증가하며, 21년 이상 근속해도 추가 연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연차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미사용 연차 수당 발생 여부도 확인하세요!

🚀 연차를 잘 활용하여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춰보세요! 🚀


 

3. 연차 사용법 & 사용 기한

📌 연차 사용 기한

연차 발생 후 1년 이내 사용해야 함
미사용 연차는 다음 해 연차수당으로 지급 가능

📌 예시 – 2024년 발생한 연차(15개)의 사용 기한

  • 사용 기간: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 미사용 시: 2025년 1월 연차수당으로 지급 가능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연차수당으로 받을 수 있지만, 회사에 따라 사용 촉진 제도를 운영할 수도 있음.


4. 📌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연차수당 계산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1일 근무시간: 8시간 (법정 근로시간 기준)
연차 1일당 수당: 최저시급 × 8시간

1️⃣  1일 연차수당 계산

🔹 10,030원 × 8시간 = 80,240원

즉, 2025년 기준 연차 1개(1일)당 수당은 80,240원입니다.


📌 연차 미사용 개수별 연차수당 총액

미사용 연차 개수연차수당 총액

1개 80,240원
5개 401,200원
10개 802,400원
15개 1,203,600원
20개 1,604,800원
25개 (최대) 2,006,000원

 

미사용 연차가 많을수록 연차수당이 증가하므로, 연차 사용 기한을 잘 확인하세요! 🚀

단, 회사가 연차 사용 촉진 절차를 거쳤다면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음.


5. 연차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수습기간에도 연차가 발생하나요?

네, 수습기간 포함 매월 개근 시 1개씩 발생

Q2. 계약직/아르바이트도 연차를 받을 수 있나요?

네, 1년 이상 근무 & 소정 근로일수의 80% 이상 출근 시 연차 지급
다만,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연차 적용 제외

Q3. 연차 사용 시 사전 보고가 필수인가요?

회사마다 규정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주 전 신청 필요
업무에 지장이 없다면 연차 사용 거부 불가

Q4. 연차를 하루 나눠서(반차, 시간 단위) 사용할 수 있나요?

회사 정책에 따라 가능 (반차, 시간 단위 연차 허용하는 기업 증가 추세)

Q5. 퇴사 시 연차 정산은 어떻게 되나요?

퇴사일까지 발생한 연차 중 미사용분은 연차수당으로 지급
퇴사 직전 연차 사용도 가능하지만, 회사와 협의 필요


6. 결론 – 연차 발생 기준, 정확하게 알고 제대로 사용하자!

연차는 1년 차에는 매월 1개씩 총 11개, 1년 후 15개 지급 (총 26개)
이후 2년마다 1개씩 추가, 최대 25개까지 증가
미사용 연차는 연차수당으로 받을 수 있지만, 사용 촉진 제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연차 사용 기한을 잘 체크하고, 연차 수당 지급 여부도 확인 필수!

🚀 연차를 잘 활용해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세요! 🚀

추가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2025년 연차 발생 기준 완벽 정리